전체 글

카테고리 없음

사내 테스트 환경 개선기 2 - 테스트 도구 도입

사내 테스트 환경 개선기 사실 솔직하게 처음 입사하고 코드를 봤을때 테스트 코드에 대한 아쉬움을 살짝 느꼈었다. 아무래도 스타트업이다 보니 기능 출시는 최대한 빠르게 하기를 원하는지라 테스트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듯 했다.하지만 테스트가 신뢰의 영역이라고 믿는 나는 버릇처럼 테스트를 짜고 리팩토링을 하면 테스트로 심리적 안정을 얻기 때문에 혼자서라도 열심히 작성해야 겠다는 생각으로 일했다. 그러던 중 보다 안정적인 테스트를 위해 필요하다고 느낀것이 있었는데, 바로 모킹 도구와 테스트 컨테이너였다.Mockk애초에 모킹을 별로 안하기도 하고 코틀린으로 스프링을 개발하면서부터 Mockk 를 써온 나는 mockito 의 불편함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하지만 JpaRepository 의 findByIdOrNu..

시리즈 관리

사내 테스트 개선 시리즈

사내 테스트 환경 개선기 1 - PR 테스트 자동화 시간 단축사내 테스트 환경 개선기 2 - 테스트 도구 도입

BackEnd/Spring

사내 테스트 환경 개선기 1 - PR 테스트 자동화 시간 단축

사내 테스트 환경 개선기 25년 1월부터 백엔드 개발자로서 새로운 회사에 출근했다. 원어민과 전화 외국어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내가 하게 될 일은 Ruby on Rails 로 만들어진 기존 서버를 Kotlin + SpringBoot 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작업이다. 입사했을 땐 사수님께서 어느 정도 기반을 마련해 두신 상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개선할 점이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테스트와 관련된 내용이다.Github 레포에 PR 을 올리면 커밋마다 테스트를 실행하도록 Github Actions 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전체 테스트를 마치는데 10분가량 소요되고 있었다.이미 사수님도 코드 리뷰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고 나 역시 이대로 가면 테스트가 늘어났을 때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 같다..

djawnstj
djawnstj.log